본문 바로가기
🧒육아·가정

육아휴직 6+6 제도 총정리|부모 모두 쓰면 최대 300만 원 받는 방법”

by YESQNA 2025. 4. 16.
반응형

육아휴직

 

 

👶 육아휴직 6+6 제도, 부모 모두 쓰면 혜택이 더 커진다?

저는 아이를 낳고 처음 육아휴직을 알아볼 때, 제일 헷갈렸던 게 6+6 제도였어요.
누구는 “두 명이 나눠서 쓰면 돈 더 나온다”고 하고,
누구는 “두 명이 써야 혜택이 커진다”며 무조건 쓰라고 하더라고요.

막상 검색해보면 정보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정확히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모르겠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6+6 육아휴직 제도가 뭔지,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육아휴직 6+6 제도란?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두 번째 육아휴직자(주로 배우자)는 앞 3개월 동안 월 최대 300만 원까지 육아휴직급여를 더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예요.

✔ 공식 명칭: 육아휴직 첫 3개월 급여 인상제 (6+6 육아휴직제)
✔ 시행 시기: 2019년 7월부터 시행
✔ 핵심 포인트:

  •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 두 번째 사용자의 3개월 육아휴직급여를 100% 보장 (상한 300만 원)

 

 

📌 이해를 돕기 위한 시나리오 예시

 구분                                 엄마 단독 사용                                                6+6 적용 (부모 모두 사용)
첫 3개월 급여 통상임금 80% (상한 150만 원) 첫 번째: 통상임금 80%, 상한 150만 원
두 번째: 통상임금 100%, 상한 300만 원
그 외 4~12개월 통상임금 50%, 상한 120만 원 동일하게 적용

즉, 배우자도 육아휴직을 함께 쓰면,
두 번째로 쓰는 사람이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구조예요!

 

 

 

💡 꼭 기억해야 할 6+6 조건

  • 부모 각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함
  • 두 사람 모두 같은 아이에 대해 육아휴직을 써야 함
  • 두 사람의 육아휴직은 동시든 순차든 상관없음
  • 단, 두 번째 육아휴직자의 첫 3개월에만 적용
  • 자영업자, 특수고용직, 프리랜서 등은 제외

 

 

🧾 신청 방법은?

  1.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
    • 보통 30일 전 사전 통보 필요 (노동법 기준)
  2.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사이트 접속
    👉 www.ei.go.kr
  3. 육아휴직급여 신청 → 1개월 단위로 매월 신청
    • 신청 시 배우자 육아휴직 이력도 함께 제출 시 확인 처리됨

 

 

📎 자주 묻는 질문

Q. 동시 사용해도 되나요?
A. 네! 부모가 같은 시기에 동시에 육아휴직을 쓰는 것도 가능해요.
단, 회사의 인력 사정 등으로 동시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니 사전 협의 필요.

Q. 배우자 육아휴직을 아직 안 썼으면 6+6 못 받나요?
A. 아닙니다. 나중에라도 배우자가 육아휴직을 쓰면 적용됩니다.
다만,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 내에 신청하는 게 중요해요!

 

 

 

 

 

🧾 마무리 한마디

6+6 육아휴직 제도는 단순히 ‘쉬는 시간’이 아니라,
부모가 함께 육아에 참여하고, 정부가 그 부담을 나눠주는 제도예요.
지금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반드시 한번은 확인하고,
조건이 맞는다면 꼭 활용하길 추천해요.
우리의 육아는 소중하니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