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상·궁금증

🧴 세탁기 섬유유연제 넣는 칸, 헷갈릴 땐 이렇게 구별하세요

by YESQNA 2025. 4. 16.
반응형

세탁기는 자주 돌리는데, 섬유유연제는 도대체 어디에 넣어야 하는 걸까요?
투입구를 열어보면 칸이 여러 개 나뉘어 있어서 세제 넣는 곳, 유연제 넣는 곳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무심코 잘못 넣었다가 빨래에서 향기가 하나도 안 나거나, 오히려 거품이 너무 많이 나는 실수를 해본 적,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사소해 보여도 정확히 알고 넣는 게 세탁 효과를 높이는 첫걸음이에요.
지금부터 섬유유연제 칸을 헷갈리지 않고 구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세탁기 투입구, 기본 구조는 이렇게 생겼어요

대부분의 드럼세탁기나 통돌이 세탁기는 투입구가 보통 2~3칸으로 구성돼 있어요.
칸마다 세제를 넣는 순서가 다르고, 기능도 조금씩 다릅니다.

 

분용도                          일반                                                                                      표기

세제 칸 본세제 (주 세탁 시 사용) "II", "Main wash"
섬유유연제 칸 헹굼 시 사용 "🌸", "Softener"
예비세제 칸 세탁 전 불림용 "I", "Prewash"

 

 

🌸 섬유유연제 칸, 이렇게 찾으면 헷갈릴 일이 없어요

1. 꽃 모양이 있다면 그게 바로 섬유유연제 칸

대부분의 세탁기에서는 유연제 칸에 작은 꽃 아이콘(🌸) 이 그려져 있어요.
'향기'와 '부드러움'을 상징하는 의미죠. 가장 쉬운 구별 포인트입니다.

2. 칸 구조를 보면 유연제 칸은 조금 다르게 생겼어요

  • 세제 칸은 넓고 깊고, 물이 많이 들어가는 구조
  • 섬유유연제 칸은 작고, 내부에 작은 구멍이나 밸브가 있어
    헹굼 타이밍에 자동으로 소량이 흘러나오게 되어 있어요

 

3. 안쪽에 쓰인 글자도 확인해보세요

  • “Softener” → 섬유유연제 칸
  • “Main Wash” 또는 “II” → 본세제 칸
  • “Prewash” 또는 “I” → 예비 세제 칸

영어로 적혀 있어도 저 세 단어만 기억해두면 헷갈릴 일이 없어요.

4. 브랜드 공식 설명서 검색도 가능해요

모델명이 보이면 인터넷에 검색하면 브랜드별로 PDF 사용설명서를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이미지로 칸 구분까지 안내되어 있어서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 이런 실수, 의외로 많아요

실수                                                                예시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유연제를 세제 칸에 넣음 헹굼 타이밍에 투입 안 됨 → 향기 없음
세제를 유연제 칸에 넣음 헹굼 시 거품이 나와 → 헹굼 불량, 찌꺼기 남음
유연제를 통에 그냥 붓기 자동 투입이 안 되어서 물과 함께 바로 빠져나감

 

 

💡 헷갈릴 때 이렇게 기억하세요

  • 꽃 그림(🌸) = 섬유유연제
  • Softener = 유연제 칸
  • Main wash / II = 세제 칸
  • Prewash / I = 예비세제
  • 세제 칸은 크고 거품 나고, 유연제 칸은 작고 안쪽에 구멍 있음

 

 

 

섬유유연제를 올바른 타이밍에 정확한 칸에 넣는 것만으로도
세탁 후 옷의 향기와 촉감이 훨씬 좋아집니다.
다음 세탁부터는 '헷갈린다'는 말, 이제 안 하셔도 돼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