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현재, 다시 한 번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외치며 백악관에 입성했습니다.
이번 임기는 단순한 복귀가 아닌, 1기 때와는 또 다른 방식의 강경한 개혁 드라이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각 정책의 배경과 전망까지 상세히 분석합니다.
📌 트럼프 대통령 정책 개요
- 슬로건: MAGA 2.0 (Make America Great Again – Reinforced)
- 핵심 키워드: 보호무역주의, 미국 우선주의, 국경 강화, 에너지 자립, 안보 강화
- 기조 변화: ‘전통적 보수’보다는 ‘국가주의적 실용주의’로 선회
💰 경제정책: 감세 vs 인플레이션
트럼프는 여전히 감세와 규제완화를 중심축으로 한 공급 측면 경제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 소득세 및 법인세 인하 추진
- 법인세 21% → 15% 인하안 재추진
- 고소득층에 대한 소득세 인하안도 검토
- “세금은 줄이고, 성장은 늘린다”는 레이거노믹스 재현 시도
2. 연방규제 대폭 축소
- 친기업 규제 완화 → 산업 활성화 유도
- 특히 에너지·환경·노동시장 관련 규제 전방위적 제거 추진
3. 인플레이션 대응은 "연준 압박"
- 금리 인상에 부정적 입장
- 연준 독립성 침해 논란 → 시장 불확실성 증가
4. 일자리 정책
- 제조업 회귀 촉진
- "미국산 제품 구매(Buy American), 미국인 고용(Hire American)" 슬로건 재강조
🌍 무역정책: 중국 견제와 보호무역 강화
1. 중국과의 '무역 전쟁' 재점화
- 기존 관세 재부과 및 확대
- 중국산 전자·자동차·의약품 등 전략 품목에 대해 25~60% 추가관세 검토
2. 다자간 무역보다는 '양자협상'
- CPTPP, WTO 등 다자체제 거부
- FTA 재조정 및 ‘미국에 유리한 재협상’ 요구
3. 미·중 공급망 분리(디커플링)
-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등 전략 자원 분야 중심으로 공급망 재편
- 한국, 일본, 대만과의 기술동맹 중요성 부각
🛡️ 안보·국방정책: '힘을 통한 평화'
1. 국방예산 확대
- GDP 대비 4% 수준까지 국방예산 확대 추진
- 우주군(Space Force) 강화 및 사이버전 대비 강화
2. 나토(NATO) 방위비 압박 재개
- “미국이 무임승차를 용납하지 않겠다”
- 유럽 동맹국에 대한 자주국방 요구 강화
3. 중동 정책: 이란 재압박
- 이란 핵합의(JCPOA) 복귀 반대
- 이란에 대한 제재 강화 및 군사력 시위
4. 북핵 문제: ‘빅딜’ 재시도?
- 조건 없는 회담보다는 핵 동결과 상응조치 중심의 거래 지향
- ‘선 핵포기’ 없는 제재 완화는 없다는 기존 기조 유지
🏭 에너지정책: 에너지 독립 재강조
1. 화석연료 산업 부활
- 석유, 가스, 석탄 산업 규제 완화
- 키스톤 XL 송유관 재승인, 공화당 중심의 ‘셰일 부활’
2. 파리기후협약 탈퇴 재추진
- 미국 이익 우선주의 강조
- 탄소중립 목표 하향, 기후 변화 대응에는 소극적 태도
3. 에너지 수출 확대
- 미국 천연가스(LNG) 수출 강화 → 동맹국 에너지 의존성 유도
🧱 이민정책: 국경 장벽 재건과 추방 확대
1. 국경장벽 공사 재개
- 멕시코 국경 장벽 재건설 본격화
- 국방 예산 일부 전용하여 장벽 공사 확대
2. 불법 이민자 대대적 추방
- 이민세관단속국(ICE) 권한 강화
- 도시 내 불법 체류자 집중 단속
3. 합법 이민도 제한 기조 유지
- H-1B 비자 심사 강화, 추첨제 폐지 검토
- 이민 → ‘고학력 중심’ 선별적 이민체제로 전환
🏥 보건·의료정책
1. 오바마케어 폐지 시도 재개
- 트럼프케어(TrumpCare)라는 대체안 준비 중
- 보험 의무화 폐지, 민간 주도 시스템으로 회귀
2. 약가 인하 공약
- 제약사 해외 가격 대비 미국 내 고가 문제 지적
- **“미국 환자가 가장 비싼 약을 사는 건 부당하다”**며 약가 인하 압박
🎓 교육정책
1. 학부모 중심의 학교 개혁
- ‘학교 선택권(School Choice)’ 강조
- 연방 예산 → 사립학교 바우처로 전환 검토
2. 대학 내 '좌편향' 견제
- 보수 성향 교사 확대, ‘정치적 중립 의무화법’ 추진
💬 정보기술 및 SNS 정책
1. 빅테크 규제 강화
- 트위터, 메타, 구글 등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 기업 집중 견제
- Section 230 폐지 재추진 (플랫폼 면책 조항)
2. 자국 중심 IT 생태계 조성
- 미국 내 5G,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우선 육성
📉 정책의 경제·정치적 영향은?
분야 긍정적 평가 부정적 우려
경제 | 감세로 인한 경기 자극 | 고물가·국채 확대 우려 |
무역 | 중국 견제 강화 | 글로벌 공급망 충돌 가능성 |
에너지 | 에너지 자립도 상승 | 기후위기 대응 약화 |
이민 | 국내 일자리 보호 | 노동력 부족, 사회 분열 심화 |
✍️ 마무리하며
2025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과거 1기 집권기와 유사한 듯하면서도, 더 조직화되고 목적 지향적인 ‘MAGA 2.0’**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보호주의, 에너지 자립, 국방력 강화, 이민 규제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이고, 경제에 있어선 공급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감세와 규제 완화를 밀어붙이고 있죠.
이번 임기의 향방은 결국 미국 국민들의 체감 경제와 정치적 피로도에 따라 평가될 것입니다.
다음 대선 주자들과의 정책 차별성도 앞으로 블로그에서 계속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
'💼 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의 미래: 전기차 그 너머를 향해 (2) | 2025.04.23 |
---|---|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모든 것》 혁신과 파격, 그리고 영향력으로 세계를 흔든 두 남자 (0) | 2025.04.23 |
📈 ETF 투자 추천 TOP 5 (국내 vs 미국 비교) (1) | 2025.04.22 |
💸 배당주 추천 리스트: 안정성 중심의 장기투자 전략 (2) | 2025.04.22 |
2025년 5월 주식시장 전망: 금리, 대선, 반도체… 어디에 주목해야 할까? (1) | 2025.04.22 |